Posts

BOE will start mass production of iPhone 13 panels from October.

BOE will supply OLED panels for Apple’s iPhone 13 in the US.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were supplying two 5.4-inch and 6.1-inch 60Hz panels with LTPS(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TFT for the existing iPhone 13 panels. And Samsung Display was exclusively supplying 6.1-inch and 6.7-inch 120Hz products to which LTPO(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 TFT was applied. The panel that BOE is supplying with approval to Apple this time is a 6.1-inch LTPS TFT panel. BOE’s panel is expected to start mass production at the end of October if Apple approves it soon.

Size[inch] TFT(Frequency) Panel Supplier
5.4 LTPS(60Hz) SDC, LGD
6.1 LTPS(60Hz) SDC, LGD, BOE(expected)
6.1 LTPO(120Hz) SDC
6.7 LTPO(120Hz) SDC

 

As for the panels that BOE supplied to the iPhone 12, EVEN process was carried out on the B7 (Chengdu) line, and the module process was carried out on the B11 (Myeonyang) line. The process was carried out separately due to the yield issue of the B7 module line, but from the iPhone 13, the deposition yield of the B11 line has improved and both the EVEN process and the module process are carried out on the B11 line. The total amount of panels that BOE will supply for iPhone 13 is estimated to be 15 million units, and although BOE has a target of producing more than 5 million units within this year, it is expected to be in the range of 2 to 3 million units in reality.

Meanwhile, it is known that BOE is also rapidly developing the LTPO line. The LTPO development speed of BOE’s B11 line is faster than that of the B7 line, and it is known that it already has mass production. At BOE, LTPO development is at a significant level, and attention is being paid to whether it will be able to supply LTPO panels to Apple’s next iPhone 14 (working title).

BOE has recently expanded its supply of flexible OLEDs to Samsung Electronics as well as Apple, and its influence in the flexible OLED market is growing. As BOE supplies new panels to Apple for the first time, attention is focused on how domestic panel makers will respond.

UBI Research predicts $2.25 billion in the 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in 2025

UBI Research (www.ubiresearch.com), a company specializing in OLED market research, cites the recently published ‘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 for the second quarter of 2021’. It is predicted that the market for light emitting materials for OLED will grow at an average annual rate of 9% to reach $2.25 billion in 2025.


The purchase amount of light emitting materials by Korean panel makers is expected to reach $1.61 billion in 2025 at an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5.8%, accounting for 71.6% of the total market. In addition, over the next five years, it is expected that Korean panel makers’ total purchases of light emitting materials will account for 72.4% of the total. In contrast, the amount of material purchases by Chinese panel makers is expected to reach $640 million in 2025 at an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8.7%.

By panel maker, Samsung Display is expected to purchase the most emitting materials with a share of 43.5% over the next five years, while LG Display is expected to purchase 28.9% and BOE 17.5%.

Finally, looking at each deposition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light emitting material for RGB OLED will account for 78% of the total market, and the light emitting material for WRGB OLED will account for 20.4%. Samsung Display’s QD-OLED emitting materials, which are expected to be released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re expected to account for less than 2% of the total material market as panel shipments are not expected to be large.

 

2018 imid_ 투명디스플레이와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전시를 통한 신규 사업 방향 제시

2018 8월 부산에서 개최된 imid는 점점 전시의 규모를 키워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한민국 디스플레이 산업을 이끄는 삼성디스플레이와 엘지디스플레이는 모두 투명 디스플레이를 전시하였다. 엘지디스플레이는 77인치 탑에미션 방식의 투과율40% 투명 디스플레이와 55인치 FHD OLED 패널 3장을 이어 붙인 비디오 월을 전시하였다. 비디오 월은 베젤이 3.5mm 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VR OLED 패널을 전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삼성디스플레이 역시도 투명 디스플레이를 전시하였는데, 엘지디스플레이가 대형 OLED 산업을 이끈다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중소형 OLED 산업을 이끄는 위치에 있음을 대변 하듯, 자동차용 사이즈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전시하였다. 투명 OLED 디스플레이 사용을 통해 HUD 디자인 발전 가능성을 시사하였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자동차용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를 전시하였다. 이를 통해 삼성디스플레이가 본격적으로 자동차용 OLED 패널 사업을 하고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또한 616ppi3.5인치 OLED패널을 사용한 VR1200ppi2.43인치 OLED 패널을 사용한 VR 을 전시하였다.

두 패널 회사들 외에도 머크, 희성소재를 비롯한 다양한 재료와 장비 업체에서도 학회 전시 참여를 통해 학계와 산업에 기여함과 동시에 사업을 소개하는 장소로 활용하고 있었다. 세계 최고의 OLED 산업리서치 업체인 유비리서치도 이번 기회를 통해 2018년 새롭게 구성한 Market Track등의 보고서를 소개하고 있다.

Samsung Electronics, 2018년 2분기 디스플레이 사업 영업이익 1,400억원 기록

Samsung Electronics는 7월 31일 진행된 2018년 2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을 통해 매출 58조 4800억원, 영업이익 14조 87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8000억원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3%, 영업이익은 8000억원 줄었다.

Samsung Electronics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사업은 flexible OLED 패널 수요 둔화와 LCD TV 패널 판매 감소로 실적이 감소하며 매출 5조 6,700억원, 영업이익 1,400억원을 기록했다. OLED 부문은 rigid OLED 가동률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flexible 제품 수요 약세가 지속돼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감소했다

하반기에는 rigid OLED에서 LTPS LCD와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나, flexible 제품 수요 회복에 따른 판매 확대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애플 아이폰 신모델용 flexible OLED를 2분기부터 생산함에 따라 하반기에 매출과 영업이익이 개선 될 것으로 예상된다.

Samsung Electronics는 차별화된 기술력과 원가 경쟁력 강화를 통해 모바일용 OLED 점유율을 확대하고 foldable OLED 등 신규 제품군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foldable OLED는 당장 하반기 실적보다는 내년 이후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IT·모바일(IM) 부문의 2분기 매출은 24조원, 영업이익은 2조 6,70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4조600억) 대비 34.2% 줄었으며 전 분기(3조7700억원)보다도 크게 감소했다. 2분기 휴대폰 판매량은 7,800만대로, 이 중 90%가 스마트폰이다. 태블릿은 500만대가 판매됐다. 단말기 평균판매가격(ASP)은 220달러대 후반이다.

소비자가전(CE) 부문의 2분기 매출은 10조 4,000억원, 영업이익은 5,100억원을 기록했다. 상반기 전체로는 매출 20조 1,400억원, 영업이익 7,900억원이다.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특수 속에 QLED TV 등 고부가 제품 판매 호조로 TV 이익이 개선되었다.

한편 삼성전자의 2분기 시설투자 규모는 8조원이었다. 사업별로는 반도체 6조 1,000억원, 디스플레이 1조 1,000억원 수준이다. 상반기 누계로는 반도체 13조 3,000억원, 디스플레이 1조 9,000억원 등 총 16조 6,000억원이 집행됐다.

[IFA2016] 삼성전자 TV 전시 컨셉이 뭐지?

IFA2016에서 보인 삼성전자의 TV 부스는 이전과 매우 다른 점이 있다. 현재 시판 중인 LCD TV에는 LED BLU를 사용하는 기존 TVquantum dot sheet를 사용하는 SUHD TV 2종류이다. 그런데 부스 전시 공간 중 매우 넓게 차지하며 소개된 제품은 언제 나올지 알 수 없는 quantum dot display를 사용한다는 inorganic TV이다.

160907_1

심성전자가 실제 TV 제품 대신 소개한 개념적인 inorganic TVOLED TV 보다 월등히 성능이 우수한 제품이다. OLED TV를 나타내는 “organic”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휘도가 급격히 떨어져 TV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지만 “inorganic”은 변화가 거의 없다. 이 내용이 사실이라면 영원히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은 우수한 제품이다.

160907_2

또 다른 개념 전시 내용에서 삼성전자는 Inorganic TV의 색순도가 월등히 우수함을 알렸다.

160907_3160907_4160907_5

Organic TV 광원에서 나오는 빛은 RGB가 아주 애매하다. 이에 비해 inorganic TV는 태생부터가 확실한 RGB로 시작한다. 이 빛이 칼라필터에 도착하기 전에 이미 inorganic은 독립적인 파장과 세기를 형성하였으나 organic은 여전히 색이 분리되지 않는 애매한 빛이다. 여기서 볼 수 있는 inorganic TV 구조는 액정과 칼라필터 사이에 quantum dot 물질이 삽입되는 형태일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칼라필터를 통과한 organic의 빛은 청색과 녹적이 섞여 있는 2파장 빛을 3파장으로 변환 시킨 것이어서 삼원색 색순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inorganic은 칼라필터 도달 전보다 훨씬 색순가 뛰어난 빛이 더 강하게 외부로 나가고 있다.

이 두가지 전시 내용이 사실이라면 삼성전자는 정말 엄청난 차세대 TV를 준비하고 있다.

문제는 이 기술은 태어나지도 않았고 엄마 뱃속에도 없는 완전 개념에 불과하다는 것이 전시장 참석자들의 지적이다. 뭐가 나올지 알 수 없는 미지의 세계를 너무 정확히 자신 있게 묘사한 삼성전자에 대해서는 역설적으로 미래 TV에 대한 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는 상황으로 보여지고 있다.

더욱이 OLED TV를 현재 시판 중인 SUHD TV와 비교하지 않고 미래의 TV 기술과 비교 함으로서 quantum dot을 사용하는 SUHD TV 보다 OLED TV가 우수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인하고 말았다.

삼성전자는 IFA2016에서 SUHD TV가 지속 성장할 것임을 알리고 싶어 했고 OLED TV는 조만간 사라질 것이라고 표현하였으나, 오히려 OLED TV가 현재의 SUHD TV 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미래에 만들어질 inorganic TV와 비교하지 않을 수 없는 급박한 상황인 것을 자인해 버렸다.

마지막으로 LCD TV에 무슨 짓을 해도 black은 안된다. LCD이기 때문에

SDC Urgently Needs Additional Installation of 20-30K Gen5.5 Rigid OLED Line

Source = Samsung

Picture Source = SDC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In order to respond to rapidly increasing OLED smartphone demand, Samsung Display( SDC ) is analyzed to require additional installation of Gen5.5 rigid OLED line and V1 line move.

At present, China’s smartphone OLED demand is explosive. According to UBI Research’s investigation, China needs up to 200 million units of mobile OLED until next year. Therefore, for Samsung Display to produce more OLED panels in A2 factory, V1 line that produces transparent OLED needs to be moved to L8 which is a Gen8 LCD factory.

OLED use V1 line has been using Gen8 manufacturing equipment produced TFT substrate cut into 6. As such, moving the V1 line to Gen8 factory is analyzed to be advisable in terms of pane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management.

The president of UBI Research, Choong Hoon Yi explained that China’s future mobile OLED demand volume is difficult for China’s key panel companies such as BOE, and even for mobile OLED leader Samsung Display it is not easy to supply sufficient amount with existing mass production line. He estimated that Samsung Display, to meet the demand, will require additional installation of at least 20-30K OLED mass production line to Gen5.5 A2 line.

삼성디스플레이, 20~30k Gen5.5 rigid OLED 라인 추가 증설 시급…中 수요 폭발

삼성디스플레이의 5세대 OLED 라인 증설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따.

삼성디스플레이의 5세대 OLED 라인 증설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강현주 / jjoo@olednet.com

삼성디스플레이가 급증하는 OLED 스마트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Gen5.5 rigid OLED라인의 추가 증설과 V1라인 이동이 불가피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중국의 스마트폰용 OLED 수요는 폭발적이다. 유비산업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서 내년까지 필요로하는 물량은 2억개에 달한다.

그러므로 삼성디스플레이는 A2 공장에서 보다 많은 OLED패널을 생산하기 위해 투명 OLED를 생산하는 V1라인을 LCD용 Gen8 공장인 L8로 이동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LED용 V1 라인은 Gen8 장비에서 제조된 TFT 기판을 6분할하여 사용하여 왔기 때문에 V1 라인이 Gen8 공장으로 이전하는 것이 패널 생산과 물류 관리 차원에서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풀이된다.

유비산업리서치 이충훈 대표는 “중국의 향후 모바일 OLED수요는 BOE 등 중국의 주요 패널 업체들이 감당하기 힘든 물량인 것은 물론, 모바일 OLED최강자인 삼성디스플레이도 현존하는 양산라인으로는 충분한 공급이 쉽지 않다”며 “이에 삼성디스플레이는 최소 Gen5.5 A2 라인에 20~30k 규모의 OLED양산라인 증설이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디스플레이, 2017년까지 OLED 설비투자 애플·삼성전자향만 15조원”

출처= SDC

강현주 / jjoo@olednet.com

오는 2017년까지 삼성디스플레이( SDC ) OLED 설비투자 규모는 애플, 삼성전자 IM (무선사업부) 등 2개의 고객으로만 15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대증권 김동원 애널리스트는 24일 이같이 전망하며 이로 인해 6세대 기준의 삼성 플렉서블 OLED 생산능력(캐파)은 2015년 월5만장에서 ‘16년 18만장, ‘17년 27만장으로 추정된다고 내다봤다.

김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OLED 장비업체들은 상반기 신규수주가 3분기 실적부터 본격 반영되기 시작해 하반기에는 시장예상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는 OLED 장비업체의 하반기 실적이 ‘16년 연간 실적의 70~90%를 차지하는 뚜렷한 상저하고 이익패턴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테라세미콘, AP시스템, 에스에프에이, 동아엘텍 등 OLED 장비업체들은 하반기 어닝 서프라이즈가 기대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김동원 애널리스트는 올해 삼성전자의 퀀텀닷 TV 출하량이 350만대, 전년대비 250%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퀀텀닷 (QD) 소재가 화면 사이즈에 관계없이 대화면 LCD TV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잉크젯 프린팅 공정 및 화이트 OLED (WOLED)에 접목해 향후 OLED TV 시장에서 QD OLED TV로 제품 차별화가 가능하며, 장기적으로 QLED (QD LED) TV 구현도 시도해 볼 수 있어 폭 넓은 확장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2015년 100만대 불과했던 삼성전자 퀀텀닷 TV 출하량은 2016년, 17년에 전년대비 각각 250%, 140% 증가한 350만대 (상반기 100만대, 하반기 250만대), 840만대로 추정되어 삼성전자 전체 TV에서 차지하는 퀀텀닷 TV 출하비중은 2015년 2%에서 2016년, 17년에 각각 7%, 18%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퀀텀닷 TV에 소재 및 인버터의 독과점 공급권을 확보한 한솔케미칼, 한솔테크닉스 하반기 실적은 큰 폭 개선이 기대된다.

“삼성디스플레이, OLED 양산 확대에 8조원 투자”

출처 = Samsung Display

강현주 / jjoo@olednet.com

삼성디스플레이가 올해 OLED 양산 설비 확대를 위해 약 8조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일본 니케이 신문이 1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탕정 공장의 OLED 양산 설비를 확충할 예정이다. 8조원 투자는 삼성디스플레이의 지난해 투자에 달하는 금액으로 스마트폰용 패널 2억수천만 장 분에 해당되는 규모다. 이는 현재 생산능력의 50%가 넘을 것이라고 니케이는 보도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이같은 행보는 애플이나 중국 업체들에 OLED를 공급하기 위한 준비로 풀이된다. 삼성의 대형투자는 OLED 패널 시장을 거의 독점하려는 계획이며, 이는 패널 생산 경쟁사들에 위협이 될 것이라는 게 니케이의 분석이다.

한편 애플은 2018년에 OLED 스마트폰 출시 방침을 부품 업체에 전달했지만 일부 기종은 내년으로 앞당길 계획으로 알려졌다.

Samsung’s 806 ppi AMOLED, to Synergize both VR and Smartphone

SDC`s 806 ppi OLED Panel for VR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Samsung Display’s recently revealed 5.5 inch 806 ppi AMOLE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global VR (virtual reality) market as well as providing synergy for both Samsung Electronics’ future VR and smartphone business.

In SID 2016 (22-27 May), Samsung Display revealed 5.5 inch AMOLED with resolution of 806 ppi. This 4K UHD display has the highest resolution for 5 inch mark AMOLED in industry.

The response speed of AMOLED is approximately 1,000 times faster than LCD and can actualize much superior picture quality due to exceptional contrast ratio. The reduced amount of harmful blue light is also another merit of AMOLED, and it is becoming the general trend for display for VR display.

Even at the same resolution, the visual effects for smartphone and VR device are different. For example, 577 ppi QHD resolution applied to Galaxy S7 can actualize quite clear picture quality for smartphone. However, when the display is directly in front of the eyes, in cases of VR, aliasing effects, when what is on the screen looks jagged, occurs. In order to produce clear picture quality with almost no aliasing effects in VR, expert believe that 1,500 ppi is required at minimum. However, the current VR AMOLED only can actualize up to high 500 mark ppi.

That Samsung Display displayed AMOLED with resolution of over 800 ppi for the first time should be noted. With this resolution, aliasing in VR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even if not perfectly. Furthermore, this AMOLED has the same brightness as the Samsung’s Galaxy S7. Considering the production yield improvement, this display could be used for Galaxy S8 (TBA) that is expected to be released in 2017. For VR device connected to smartphone, smartphone’s resolu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VR’s picture quality. This means that the Samsung’s 806 ppi 5.5 inch AMOLED allows for UHD smartphone production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VR with upgraded picture quality.

UBI Research explained that while some believe that ultra-high resolution is not necessary in small screen such as smartphone, the 4K UHD 5.5 inch AMOLED is significant in that smartphone is linked with VR which market is being opened. He added that the 806 ppi AMOLED recently revealed in SID 2016 by Samsung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global VR market as well as providing synergy for both Samsung Electronics’ future VR and smartphone business.

 

삼성디스플레이, 노트북·태블릿용 OLED 박차…패널생산 급증, 적용제품 속속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가 탑재된 HP의 Labtpo

삼성디스플레이의 패널이 탑재된 HP의 OLED Labtop

강현주 / jjoo@olednet.com

OLED가 다양한 장점으로 노트북, 태블릿, 모니터 등에도 적용이 늘어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패널이 이 시장으로 본격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HP 는 최근 삼성디스플레이의 2560×1600 해상도의 13.3인치 OLED를 탑재한 노트북 ‘Spectre 360’ 출하를 시작했다.

앞서 지난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6’을 통해 삼성전자가 삼성디스플레이의 12인치 OLED가 탑재된 갤럭시 탭 프로 S’를 공개했으며 HP 와 델도 삼성디스플레이의 13인치대 OLED를 탑재한 노트북을 발표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5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SID 2016’에서 2560×1440 해상도의 13.3인치와 14인치 노트북용 OLED를 전시하며 노트북 시장을 적극 공략했다. 이어 국내 한 언론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노트북 및 모니터용 저해상도 LCD 패널인 TN 패널 생산을 중단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노트북 시장 공략을 본격화 하는 것은 OLED의 다양한 장점을 내세워 프리미엄시장을 창출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OLEDLCD에 비해 명암비가 우수해 더 선명한 화질을 가지며 LCD보다 무게를 더 줄일 수 있어 프리미엄 시장 형성에 용이하다. OLED의 단점으로 여겨졌던 번인(burn in)’ 현상도 많이 개선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삼성디스플레이는 노트북, 태블릿용 OLED 시장 확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실제로 유비산업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의 20161분기 태블릿용 OLED 패널 출하량은 전년동기 대비 10배 이상 증가했다.

당장은 가격이 LCD에 비해 높기 때문에 의료용 등 전문가 시장 공략부터 시작해야 하지만 향후 가격 경쟁력도 높아지게 되면 대중화도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유비산업리서치의 ‘2016 OLED 디스플레이 Annual Report’에 따르면 노트북, 모니터용에 해당하는 11인치~30인치 OLED 패널 출하량은 올해 10만장을 기록할 전망이며 2020년에는 이보다 10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의 806ppi AMOLED, VR-스마트폰 동시에 시너지”

삼성디스플레이는 806 ppi 의 5.5인치 AMOLED를 SID 2016에서 선보였다.

강현주 / jjoo@olednet.com

삼성디스플레이가 최근 공개한 5.5인치 806ppiAMOLED는 삼성전자의 향후 가상현실(VR)과 스마트폰 사업에 동시에 시너지를 내는 동시에 글로벌 VR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522일부터 27일까지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SID 2016’에서 806ppi 해상도의 5.5인치 AMOLED를 공개했다. 4K UHD급의 이 디스플레이는 5인치대 AMOLED 중에서 업계 최고 해상도다.

AMOLEDLCD에 비해 응답속도가 1000배 가량 빠르고 명암비도 뛰어나 더 우수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으며 블루라이트가 적어 눈건강에 좋다는 점 등 다양한 장점으로 VR용 디스플레이로 대세가 되고 있다.

같은 해상도라도 스마트폰과 VR 기기는 시각적인 효과가 다르다. 가령 갤럭시 S7에 적용되는 577ppiQHD 해상도는 스마트폰에서는 꽤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VR처럼 바로 눈앞에서 화면을 보는 경우는 도트가 튀는 계단현상이 생긴다.

VR에서 계단 현상이 거의 없는 선명한 화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최소 1500ppi 이상은 돼야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현재 VRAMOLED500대 후반 ppi까지만 나와있다.

이 가운데 삼성디스플레이가 처음으로 800ppi가 넘는 AMOLED를 전시한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이정도 해상도라면 완벽하지는 않아도 VR에서 계단현상을 어느정도 개선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 AMOLED는 현재 판매되고 있는 삼성의 갤럭시 S7과 휘도가 동등하다. 생산 수율 개선 등을 감안할 때 이 디스플레이는 2017년 출시가 예상되는 갤럭시 S8(가칭)에 탑재될 수 있을 전망이다. 스마트폰을 꽂아서 쓰는 방식의 VR 기기의 경우 스마트폰의 해상도가 곧 VR의 화질과 직결된다.

삼성이 개발한 806ppi5.5인치 AMOLED UHD 스마트폰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한단계 업그레이드 된 화질의 VR 등장을 가능하게 한다는 얘기다.

유비산업리서치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초고해상도가 스마트폰 같은 작은 화면에서 큰 소용없다는 관점도 있지만 스마트폰이 새롭게 시장이 열리는 VR과 연동된다는 점만으로도 4K UHD 5.5인치 AMOLED는 충분히 의미있다라며 삼성이 SID 2016에서 선보인 806ppi AMOLED는 자사의 스마트폰과 VR 사업에 동시에 시너지를 줄 뿐 아니라 글로벌 VR 시장을 더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SID 2016] Samsung Reveals 806 ppi VR Panel, Highest Resolution in Industry

SDC Showcasing an 806ppi OLED Panel for VR ( San Francisco = OLEDNET )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Samsung Display is drawing attention with 5 inch level VR (virtual Reality) device display with the highest resolution in the industry. The company also displayed Bio Blue, which minimized blue wavelength harmful to human eye.

At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2016 ( SID 2016, 22-27 May), Samsung Display drew visitors’ attention with their new panel products such as OLED for VR and rollable OLED. At the exhibition booth, Samsung Display presented new 5.5 inch panel. The panel’s resolution, 806 ppi, is the highest pixel density of the 5 inch level VR panels published so far. The resolution is 3840 x 2160 with 306 nit brightness and 97% color gamut.

SDC`s ‘Bioblue’ (Sanfrancisco = OLEDNET)

Additionally, Samsung Display revealed another OLED panel for VR named Bio Blue. Bio Blue minimized harmful blue light by adding light blue to the existing RGB pixel structure. Displaying Bio Blue, the company emphasized that OLED is better for eye health compared to LCD. Of the total blue spectrum, the proportion of blue light harmful to human eye is 66% for LCD and 32% for AMOLED. Samsung Display added that AMOLED will be able to reduce this figure to 6% in future.

Samsung Display exhibited diverse OLED panels including 5.7 inch rollable and panel for notebook use.

[SID 2016] 삼성, 업계 최고 해상도 806ppi VR 패널 공개

삼성디스플레이가 SID 2016 에서 806ppi 의 VR 용 OLED 패널을 선보였다. (샌프란시스코 = OLEDNET)

강현주 /jjoo@olednet.com

삼성디스플레이가 5인치대 가상현실(VR) 기기용 디스플레이로는 업계 최고 수치인 806 ppi 패널을 공개해 눈길을 끈다. 또 눈에 해로운 블루 파장을 최소화 시킨 ‘바이오 블루’도 전시했다.

5월 22일부터 27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 SID(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국제 정보디스플레이 학회) 2016’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VR용 OLED, 돌돌 말리는 롤러블 OLED 등 새로운 패널 제품들을 선보이며 참관객들의 관심을 모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SID 2016 전시장 부스에서 5.5인치 VR 패널 신제품을 전시했다. 이 패널의 인치당 픽셀 수는 806ppi로 지금까지 공개된 5인치대 VR 패널 중 최고 높은 수치다. 해상도는 3840×2160이며 밝기는 306nit, 색역은 97%다.

삼성디스플레이가 SID 2016 에서 선보인 ‘바이오블루’ VR 용 패널 (샌프란시스코 = OLEDNET)

삼성디스플레이는 이와 함께 또 다른 VR용 OLED 패널 ‘바이오블루’를 선보였다. 바이오블루는 기존 RGB 픽셀구조에 라이트 블루를 추가하는 새로운 방식을 통해 눈에 해로운 블루파장을 최소화 시킨 패널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바이오블루를 전시하며 LCD 에 비해 OLED 가 눈 건강에 좋다는 점을 강조했다. 전체 블루 스펙트럼 중 눈에 해로운 블루 라이트의 비중이 현재 LCD 는 66%며 AMOLED 는 그 절반인 32%다. AMOLED 는 향후 이를 6%까지 낮출 수 있다는 게 삼성디스플레이의 설명이다.

한편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에서 5.7인치 롤러블, 노트북용 등 다양한 OLED 패널들을 대거 선보이며 모바일 OLED 세계 최강자의 면모를 과시했다.

[SID 2016] Samsung Display ’s EVP “The Future of Car, Window and Mirror is AMOLED”

a Slide from Samsung Display EVP`s Keynote at SID 2016 (San Francisco = OLEDNET)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As a keynote speaker for SID 2016, Samsung Display ’s Executive VP and Chief of Research Center, Dr. Sung-Chul Kim explained that display will expand human life experiences through application to automotive, window, mirror, etc. and emphasized that AMOLED will become a key solution for this.

During his keynote session in SID 2016, Kim explained display related technological issues and AMOLED’s advantages. In particular, he highlighted AMOLED’s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flexible.

Displays that can turn from a wall or window into an information display simultaneously require flexibility and hardness. Kim also explained curved display is suitable for automotive uses. In terms of mirror display, AMOLED is suitable as superior color gamut is required.

Kim added that for realistic image required by VR (virtual reality) and others requires ‘driving tech’. He explained that foldable, rollable, deformable, and stretchable displays will produce more attractive devices, and provide new experiences through VR, automotive, digital signage, etc.

Kim told the attendees that display is a window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and expands lives. He emphasized that AMOLED is the key solution for future display, and will bring more opportunities than expected.

 

 

[ SID 2016 ] 삼성디스플레이 김성철 부사장 “자동차, 창문, 거울의 미래는 AMOLED”

SID 2016 키노트세션. 김성철 부사장의 슬라이드 ( 샌프란시스코 = OLEDNET )

강현주 / jjoo@olednet.com

SID 2016 기조연설 연사로 선 삼성디스플레이( SDC )의 리서치 센터장인 김성철 부사장은 디스플레이는 자동차, 창문, 거울 등에 적용돼 인간 삶의 경험을 더 확장해주며 AMOLED 가 이를 위한 주요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성철 부사장은 5월 22일부터 27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컨벤션센터( Moscone Convention Center ) 에서 개최되는 ‘ SID (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국제 정보디스플레이 학회 ) 2016 ’ 의 키노트 세션에서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 이슈 및 AMOLED 의 강점들을 설명했다.

김 부사장은 특히 ‘플렉서블’에 적합한 AMOLED 의 특성을 내세웠다.

평소에는 벽이나 창문으로 있다가 때로는 정보판이 되는 디스플레이는 유연성( flexibility )과 딱딱함( hardness )이 동시에 필요하다. 또 자동차 내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는 ‘곡면의( curved ) 세상’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거울용 디스플레이의 경우 뛰어난 색의 영역( gamut )이 요구되므로 AMOLED 가 이에 적합하다.

김 부사장은 또 VR 등에 필요한 현실감 있는 이미지를 위해서는 구동회로 기술력이 요구된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접히고( Foldable ) 돌돌말 수 있고( rollable ) 변형되고( deformable ) 펼칠 수 있는( stretchable ) 디스플레이는 기기들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어 줄 것이며 가상현실( VR ), 자동차, 디지털사이니지 등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사장은 “디스플레이는 세계와 소통하는 창이며 우리의 삶을 확장해 준다”며 “AMOLED 는 미래 디스플레이의 주요 솔루션이며 AMOLED 는 생각보다 많은 기회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이씨디( ICD ), 삼성디스플레이에 80억원 규모 AMOLED 장비 공급

출처 = ICD

강현주 / jjoo@olednet.com

반도체용 기계 제조사인 아이씨디( ICD )가 23일 삼성디스플레이에 80억원 규모의 AMOLED 제조장비를 공급하기로 계약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계약금액은 약 80억3천900만원이며, 계약기간은 9월 30일까지다.

아이씨디는 자체 생산으로 해당 장비를 공급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권오현 부회장, 삼성디스플레이 대표로 선임

 

SDC 대표로 선임된 권오현 부회장(출처=네이버)

SDC 대표로 선임된 권오현 부회장(출처=네이버)

 

삼성디스플레이는 4월 29일 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개최하여 삼성전자 대표이사인 권오현 부회장을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삼성전자 DS부문장을 겸직하고 있는 권오현 부회장이 이번 인사를 통해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까지 추가로 겸직하게 되면서 부품 양대 축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사업이 본격적인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메모리와 디스플레이를 두로 경험한 박동건 사장은 삼성전자 DS부문으로 자리를 옮겨 미래사업 준비와 부품 사업의 핵심인 설비 및 제조 경쟁력 강화에 주력할 예정이다.

OLED Frontier Forum’s 3rd Section Panel Discussion Summary

The 3rd section of the 1st OLED Frontier Forum (Jan 28), OLED’s Future, held a panel discussion with government, industry, and academia experts discussing OLED industry development strategy, such as next gene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convergent areas, and personnel training, and future forecast. OLEDNET summarized the answers that each expert gave to the questions of the panel chair (Professor Changhee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Jun-hyung Souk (Professor, Sungkyunkwan University)

For SDC mobile, as the OLED depreciation is ending the OLED production cost is becoming almost the same as LCD. If OLED related experts stay within Korean industry as well as the technology, Korea can continue to lead for 4-5 years. In order to achieve the continued leadership, differentiation through flexible R2R has to be carried out, as well as the materials and encapsulation technology development.

 

 

Sung-Chul Kim (CTO, SDC)

As a-Si is an existing technology, there is no room for further advancement. Sharp’s difficulty in panel business is due to lack of technology research on the panel. Because one technology can only be used for approximately 7 months, diverse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In-byeong Kang (CTO, LGD)

Fast organizations cannot but win. Therefore, rapid change to OLED from LCD is needed. As difficult is the technology, cooperation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is needed. Now is the time when this cooperation for next gene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s more in demand. LGD is putting in much effort for OLED profitability.

 

 

Sung-Jin Kim (Vice President, Toray Advanced Materials Korea)

Cooperation between materials and manufacturing equipment companies is important in solution process materials development. Particularly, how to control dry process is an important issue. Also, Kim expects the current solution process materials development to show tangible results in 3-5 years.

 

 

Junyeob Lee (Professor, Sungkyunkwan University)

Solution process is favorable for materials optimization. From the initial concentration on polymer materials, recently small molecule materials focused soluble materials development is being carried out, and how to implement common layer is an issue. Emitting layer is using the small molecule materials that are being used as evaporation materials. The difference is the higher cost as the solvent is used. Also, as there is an issue (formulation problem) when used in large area, solution is required.

 

 

Kyoung-Soo Kim (Vice President, Korea Display Industry Association)

Expert acquirement is a key issue. Through upgraded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academia, and industries, cooperation between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terials has to progress into a positive cycle. Also the open platform regarding new OLED application is needed.

 

 

Young-Ho Park (PD,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Flexible display competitiveness acquirement is a big concern. Programs for challenging R&D, and high added value product/technology development, and R&D infra establishment (highly cost-effective R&D) have to be considered.

 

OLED Frontier Forum 제 3부 panel discussion 요약

제 1회 OLED Frontier Forum의 제 3부 ‘OLED 미래’에서는 정부, 업계, 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차세대 기술개발, 융복합 분야, 인력양성 등 OLED 산업 발전 전략과 미래 전망에 대한 패널 토론이 진행되었다. OLEDnet에서는 사회자(이창희 교수, 서울대)의 질문에 대한 각 분야별 전문가들의 답변 내용을 요약하였다.

 

석준형 교수 (성균관대)

SDC Mobile의 경우 OLED의 감가상각이 끝나가기 때문에 OLED의 원가는 LCD와 거의 같아지고 있다. OLED관련 전문 인력만 빼앗기지 않으면 4~5년은 한국이 주도해나갈 수 있다.(Black Box화 전략) 지속적인 주도권 확보를 위해 flexible R2R로 차별화를 해야하며, 이와 더불어 소재와 encapsulation쪽 기술개발 필요하다.

 

김성철 CTO (SDC CTO)

a-Si는 기술적 차별성이 없다. Sharp의 panel 사업이 어려움을 겪은 이유는 panel에 대한 기술연구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가지 기술로는 7개월 밖에 못 가기 때문에 다양한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강인병 CTO (LGD CTO)

빠른 조직이 이길수 밖에 없다. 따라서 LCD에서 OLED로의 빠른 전환이 필요하다. 기술이 어려운만큼 산학연의 협력이 필요하며, 차세대 기술개발에 대한 산학연의 협력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LGD는 OLED 흑자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김성진 전무(도레이 첨단 소재)

소재 업체와 장비 업체의 협력이 용액공정 재료 개발 시 중요하며 특히 Dry process를 어떻게 control을 할 것이냐가 중요한 이슈이다. 또한 현재의 용액공정 재료 개발은 3 ~ 5년 정도면 가시적인 결과를 볼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이준엽 교수 (성균괸대)

용액공정이 재료 최적화에 유리하다. 초기 고분자 위주에서 최근에는 저분자 위주의 soluble 재료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통층을 어떻게 가져가느냐에 대한 이슈가 있다. 발광층은 현재 증착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저분자 재료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차이점은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 측면에서 현재는 비싸다는 이슈가 있으며, 또한 대형화 시 문제점(formulation 문제)이 있어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김경수 부회장(디스플레이 산업 협회)

전문인력 확보가 관건이며, 산학연 or 기업간 협력을 upgrade 시켜 panel-장비-소재간의 협력이선순환관계로 발전되어야 한다. 또한 새로운 OLED 응용분야에 대한 open platform이 필요하다.

 

박영호 PD(한국 산업기술평가 관리원)

Flexible 디스플레이 경쟁력 확보에 대한 고민이 크다. 도전적 R&D를 위한 program과 고부가가치의 상품/기술 개발, R&D infra 구축(가성비 높은 R&D)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해야 한다.

Portfolio Items